LEET
2024년도 LEET 언어이해 4-6번 문제해설(홀수형)
2024년도 LEET 언어이해 4-6번 문제해설(홀수형)
2023.07.282024년도 LEET 언어이해 4-6번 문제해설(홀수형) I. 지문분석 [1문단] 지문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. [2문단] 1. 속성, 레코드, 데이터 집합을 정의하고 2. 식별자, 준식별자, 일반속성, 민감속성을 설명합니다. 데이터 처리, 컴퓨터 과학 관련 지문은 세번째 문제에서 응용 풀이를 요구합니다. 그래서 저는 지문을 읽을 때부터 문제의 표를 보면서 구조화합니다. [3문단] 1. 식별자나 준식별자 속성에 대해서만 마스킹을 수행합니다. 2. 동질집합: '준식별자 속성값이 모두 동일한' 레코드들의 집합 3. 동질집합의 크기: 레코드의 수 4. k-익명성: 동질집합의 크기가 k 이상인 집합만 살려두는 것 [4문단] 민감속성: 개인의 사생활과 관련된 속성(준식별자와는 다름) ..
2024년도 LEET 언어이해 22-24번 문제해설(홀수형)
2024년도 LEET 언어이해 22-24번 문제해설(홀수형)
2023.07.262024년도 LEET 언어이해 22-24번 문제해설(홀수형) I. 지문분석 [1문단] 산소 의존성 광반응에 대한 설명이 시작되는 단원입니다. 아크리딘 + 번개에 의해 원생동물이 사멸하는 것, 에오신 + 빛에 의해 종양에 영향을 주는 것을 통해 산소 의존성 광반응을 발견하였습니다. 빛, 화학물질, 산소의 상호작용이 세포를 죽인다는 것이 반응의 핵심인 것 같습니다. 다음 단원에 바로 상세한 설명이 나오니, 크게 표시할 것 없이 넘어가도 좋겠습니다. [2문단] 설명하고자 하는 현상의 기본적인 원리가 제시되는 문단입니다. 1. 광역학 치료(=산소 의존성 광반응, 이하 광반응)의 필수적 요소 : 빛 에너지 + 감광제 + 산소 세 요소 중 하나라도 부재한다면 광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겠죠. 구체적 메커니즘은 ..